상승세가 꺾일줄을 모르는 sk 하이닉스의 2분기 배당금 지급일이 다가왔습니다.
오늘은 sk 하이닉스의 주가 배당금 지급일등 sk 하이닉스의 모든것을 알아보겠습니다.
sk 하이닉스 주가
23년 1월 7만3천원으로 최저가를 찍었던 sk 하이닉스는 올해 9월 29일에 역대 최고가인 36만원을 돌파했습니다.
무서운 상승세인데요. 현재 라이벌이 없다는 말까지 들리고 있는 하이닉스라 주가상승과 배당금 모두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어 국내 주식 중 든든한 주식 중 하나이지 않을 까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sk 하이닉스 주주구성
sk 하이닉스는 모두 보통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식수는 약 728,000,000만주입니다.
외국인이 54.8%를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 sk 하이닉스의 모기업인 sk스퀘어가 20.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sk스퀘어는 현재 배당을 하지 않고 주식매수 후 소각으로만 주주환원정책을 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sk 하이닉스 배당금이 점점 늘어나고 자회사들의 실적또한 좋기 때문에
실제 배당금을 지급할 날이 머지 않았다고 합니다.
sk 하이닉스 역대 배당금
작년 sk 하이닉스의 배당금은 2,204원으로 역대 최고금액을 배당하였습니다. 시가 배당률은 1%입니다.
25년 1분기 배당금은 375원 이었습니다.
sk 하이닉스 2분기 배당일정
배당기준일: 8월 31일
배당락일 : 8월 29일
마지막 매수일 : 8월 28일
시가 배당률: 0.1%
배당금 지급일 : 9월 30일
sk 하이닉스
SK하이닉스는 SK그룹에 속해 있습니다. 2012년 SK텔레콤이 하이닉스반도체를 인수하면서 SK그룹의 계열사가 되었고, 사명을 SK하이닉스로 변경했습니다.
2025년 상반기 매출 및 하반기 전망
2025년 상반기 매출
SK하이닉스는 2025년 상반기 매출액 39조 8700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특히, 이 중 **27%**가 엔비디아(NVIDIA)로부터 발생할 정도로 고대역폭 메모리(HBM) 사업이 실적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또한, 상반기 영업이익은 16조 6534억원으로, 국내 상장사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2025년 하반기 기대
SK하이닉스는 하반기에도 AI 메모리 시장을 중심으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 HBM(고대역폭 메모리): AI 서버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SK하이닉스의 주력 제품인 HBM의 출하량은 2025년 전체적으로 전년 대비 약 2배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 및 생산: AI 메모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미국 인디애나주 패키징 공장 등 생산 시설 확장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수요 예측: 2025년 전체 메모리 시장은 AI 데이터센터용 HBM을 중심으로 성장할 것이며, SK하이닉스는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을 늘려 수익성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sk하이닉스는?
SK하이닉스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메모리 반도체 전문 기업이자, 글로벌 IT 산업의 핵심 플레이어입니다. "반도체"라는 단어가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간단히 말해 우리 주변의 모든 스마트 기기, PC, 서버에 들어가는 "두뇌"와 같은 역할을 하는 부품을 만드는 회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특히 SK하이닉스는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D램(DRAM)**과 낸드플래시(NAND Flash) 분야에서 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 메모리 반도체, 우리 삶의 필수품
SK하이닉스의 주력 제품인 메모리 반도체는 우리 삶 곳곳에 스며들어 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고, PC에서 문서를 작성하고, AI 스피커로 음악을 재생하는 모든 과정에 메모리 반도체가 사용됩니다. D램은 PC나 서버의 작업 공간 역할을 하며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고, 낸드플래시는 스마트폰의 사진이나 파일처럼 전원이 꺼져도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영구 저장소 역할을 합니다. SK하이닉스는 이러한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하며 IT 생태계의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
AI 메모리 시대의 선두 주자, HBM
최근 SK하이닉스는 인공지능(AI) 시대의 핵심 기술인 고대역폭 메모리(HBM) 분야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HBM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쌓아 올려 데이터 처리 속도와 용량을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제품입니다. 이는 방대한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해야 하는 AI 시스템에 필수적이며, SK하이닉스는 HBM 시장의 선두를 달리며 엔비디아(NVIDIA)와 같은 글로벌 AI 기업들의 주요 파트너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리더십을 바탕으로, 2025년에는 D램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하기도 했습니다.
끊임없는 혁신과 미래를 향한 투자
SK하이닉스의 경쟁력은 기술 개발에 대한 끊임없는 투자에서 나옵니다. 차세대 D램 기술인 3D D램과 극자외선(EUV) 노광장비 도입 등 첨단 공정 기술을 선도하며 기술 격차를 벌리고 있습니다. 또한, AI 시대에 맞춰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미국 인디애나 패키징 공장 등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며 생산 능력을 확장하고, 인재 양성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